1. 차나무 자체의 한계
차나무는 습도나 기타 환경이 받쳐만 준다면 러시아 땅에서도 자랄 수 있음.
그러나 한국은 극단적인 일교차와 장마 시기에 몰려있는 강수량, 습도 기타 등등의 한계 때문에
북방 한계선이 전남 김제 수준이 한계임. 그래서 차의 생산지가 극히 한정적이라 공급이 쉽지 않음.
2. 문화적 한계
위의 이유처럼 차의 생산력이 떨어지다보니 자연스레 고급 사치품이 될 수 밖에 없음.
고려시대야 불교 문화 덕에 백성이 굶어 죽더라도 차를 심어서 어찌저찌 보급하긴 했음.
그 덕에 다점 등 민간 계층에서도 차를 마실 수 있었으나 근본적인 한계를 해결하긴 무리였고.
조선대로 들어오면서 사치품인 차도 뒤안길로 밀려남.
3. 일본
그러나 오랫동안 차를 영유해온 고려답게 조선 초기까진 차를 마시는 문화가 살아남았음.
이후 임진왜란,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200년 가까이 뒈짖해버렸지만.
다행이 차나무 재배가 가능한 전남 일부에선 절을 중심으로 차가 살아남음.
이를 바탕으로 초의선사나 다산 정약용 등 새롭게 치 문화를 향유하는 계층이 생겨나고 계승이 이어졌으나
일제강점기로 또 치명적인 타격을 입으면서 뒈짖해버림.
----
그덕에 동아시아 삼국 중 한국의 차는 다양성에서나 문화에서나 가장 후진 편에 속함.
검소하니 본질에 집중하니 하지만 막말로 발전을 못 했으니 뭐 할것도 없다는 소리니까.
댓글(12)
보리차는?
진짜 엄밀히 말하면 다도에서 말하는 차는 녹차랑 거기서 파생된 홍차정도…
진짜 정석으로 간다면 보리차가 아니라 보리탕이 맞다.
차는 차나무 잎을 가공한걸 말하는거. 홍차,녹차등등
그 이외의 우린 제품들은 탕이 맞다고 한다.
술은 잘먹던데
사실 술때문이기도함
과일 약초 꽃을 담궈 차 이상의 아로마를 뽑아 마셨기에
술은 안 먹는 문화권을 찾기 힘든지라 논외로 둬야지
술은 노동 환경과 연관되어있어서
동시에 차보다 탕문화가 더 컸기도 하고
일제의 문화말살...
물이 깨끗해서 맹물을 마셔도 되니까 차가 발전 안했나 했는데
그랗다기엔 일본 다도처럼 말차같은 단품종 이용한 고오오급 문화도 거의 없는 거라
근데 연교차는 일본도 만만치 않지 않나? 땅이 길쭉하니 재배지역이야 넓겠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