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게 실시간 커뮤니티 인기글
종합 (4206861)  썸네일on   다크모드 on
220.4622.. | 25/04/14 11:59 | 추천 47 | 조회 55

[유머] "2021년 신생아 중 고소득 가구가 54%" 분석해보기 +55 [29]

루리웹 원문링크 https://m.ruliweb.com/best/board/300143/read/70268075


img/25/04/14/1963230826a599d25.jpg


《소득별 구간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을 활용했다. 그에 따르면 중위소득의 75% 이하를 벌면 저소득층, 200% 이상을 벌면 고소득층이며 그 사이가 중산층이다.

이런 구분 기준에 따라 가계금융복지 조사 자료를 토대로 2021년 1인당 중위 소득(세후 기준)은 연 3천174만원이다. 연간 2천380만원 아래로 벌면 저소득층, 6천348만원 이상 벌면 고소득층에 속한다.》

이거 기준으로 분석을 대충 해보면

일단 2021년 균등화소득을 가져왔음(3열은 시장소득, 4열은 가처분소득)


img/25/04/14/196323083d8599d25.jpg


가구별로 제각기 가구원 수, 근로중인 가구원 수, 근로중인 가구원들이 풀타임 근무인지 파트타임 근무인지 이런게 들쑥날쑥 하기 때문에 그냥 소득을 그대로 쓰는게 아니라 균등화 소득을 사용함


이게 국제적으로도 통계 낼때 표준임

균등화소득=가구소득/sqrt(가구원 수)


예를 들어서 4명인 가구에선 근로를 하는 가구원이 2명이라고 치고 가구소득을 나누기 2 해서 그 균등화소득을 취하는거임


저 자료도 균등화 소득일 가능성 커보이는데 왜냐면 개인이 아니라 가구간 소득 비교에서는 균등화소득 말고는 거의 쓰이지 않음


암튼 자료에 의해 저소득층 기준선인 2380만원은 가처분소득 기준으로 하위 25%에 해당되므로 약 25%의 가구에서 9%의 신생아가 태어남


그리고 고소득층 6348만원? 상위 10% 경곗값이랑 거의 비슷하다, 아마 상위 12% 정도 될 것이다


12%의 가구에서 54%의 신생아가 태어남


그럼 나머지 63%의 중산층 가구에서는 37%가 태어남을 알 수 있다


상대적인 출산율은...

고소득층: 54/12=4.50

중산층: 37/63=0.59

저소득층: 9/25=0.36


고소득층 가구는 중산층에 비해 상대출산율이 약 7.7배... 저소득층에 비해서는 12배가 넘는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신고하기]

댓글(29)

1 2

이전글 목록 다음글

12 3 4 5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