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게 실시간 커뮤니티 인기글
종합 (4222456)  썸네일on   다크모드 on
Patrick .. | 25/03/30 21:18 | 추천 48 | 조회 57

[자작유머] 스압) 해군사관학교 거북선 많이 실망이다... +57 [10]

루리웹 원문링크 https://m.ruliweb.com/best/board/300143/read/70083713


img/25/03/30/195e6f6ed4939a98f.jpg

2022년 해군사관학교에서 3차 거북선을 만듦. 1980년의 1차 거북선, 1999년의 2차 거북선은 정조 시대(1795)의 통제영 거북선과 좌수영 거북선을 합친 "짬뽕 거북선"인걸 반성하는 의미에서 최대한 1592년 거북선에 가깝게 만들자는 취지였음.


근데 이 보고서를 읽고 굉장히 실망함.

img/25/03/30/195e6f7336939a98f.jpg

3차 거북선을 만들기 위한 자문위원들. 이 중 이민웅 교수, 정진술 교수, 채연석 박사, 마광남 조선장, 홍순재 학예사, 박제광 박물관장은 내가 직접 만나 봰 분들임. 이렇게 많이 만난 이유는 최대한 중립적으로 정보를 듣고 확증편향없이 거북선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였음.


근데 해사에선 이 분들을 사실상 바보 취급함. 그 이유를 서술함.

img/25/03/30/195e6f79e2239a98f.jpg

거북선 설계 당시 거북선은 A안,



img/25/03/30/195e6f79fab39a98f.jpg

그리고 B안이 있었음.




1번. 거북선 밑바닥

img/25/03/30/195e6f7f6b539a98f.jpg




img/25/03/30/195e6f7f86239a98f.jpg

전통 한국배들의 특징이 있는데 한국배들은 앞에서 보면 배 밑(저판)이 평평하지만 옆에서 보면 활처럼 휘어 파도를 잘 타고 가게 되었음.

img/25/03/30/195e6f84ee039a98f.jpg

이 사실은 전통배 조선장 마광남 장인과 문화재청 홍순재 학예사가 발굴해서 증명한 사실임

img/25/03/30/195e6f8873c39a98f.jpg

A안은 활처럼 구부러졌고

img/25/03/30/195e6f8b7e539a98f.jpg

B안은 1자 형태로 평평함.

img/25/03/30/195e6f8e39d39a98f.jpg

근데 해사에선 B안이 문헌에 더 가깝다며 B안을 채택함.




2번. 거북선 지붕

img/25/03/30/195e6f91d7c39a98f.jpg

왼쪽이 A안, 오른쪽이 B안


A안 지붕은 우리가 아는 둥근 모양이고, B안 지붕은 볼록할 철(凸) 모양임.

img/25/03/30/195e6f97a5439a98f.jpg




img/25/03/30/195e6f97bb239a98f.jpg




img/25/03/30/195e6f97e4e39a98f.jpg

조선 후기에 그려진 수군도에선 거북선들이 A안 지붕에 가까운걸 볼 수 있음.


img/25/03/30/195e6f9d78539a98f.jpg

그럼에도 B안의 볼록할 철(凸) 지붕이 문헌에 가깝다고 주장함.




대체 B안을 제안한 사람이 누구길래 해사 보고서는 B안을 지지하는지 궁금했는데, 그건 금방 알 수 있었음.




3번. 거북선 꼬리

img/25/03/30/195e6fa30af39a98f.jpg

이순신의 조카 "이분"이 쓴 행록을 보면 거북선 뒤에 거북꼬리가 있다는 구절이 나옴.

img/25/03/30/195e6fa6f3639a98f.jpg

해사에선 거북꼬리를 8m짜리 곧은 노를 꽂은거라고 주장했는데

img/25/03/30/195e6faea8239a98f.jpg

이건 전직 해사 교수 "정진술" 박사가 주장한 학설임.

img/25/03/30/195e6fb719539a98f.jpg

조선후기 "이의병 수군조련도"에서는 꼬리 달린 거북선이 그려졌고



img/25/03/30/195e6fb72f139a98f.jpg

덕수 이씨 종가 거북선에도 그려진 짧은 꼬리가 달려있다는 자문위원 채연석 박사의 주장은 논의조차 안 됐음.

img/25/03/30/195e6fbc07639a98f.jpg

아까 말한 볼록할 철 凸 모양 거북선 지붕을 주장한 사람도 정진술 박사의 주장임.


정진술 박사가 옳은 주장만 했냐면 그건 또 아닌게...


4번. 거북선 뱃머리


img/25/03/30/195e6fc18a239a98f.jpg

거북선 같은 배의 뱃머리를 "비하진판"이라고 함.


정 박사는 비하진판을 나무판 10개로 복원했는데

img/25/03/30/195e6fc5a0339a98f.jpg




img/25/03/30/195e6fc5bc739a98f.jpg

정작 회화 속의 거북선 비하진판은 나무판 7개임. 왜 10개로 늘렸는지 이유는 없었음.




5번. 거북선 통로

img/25/03/30/195e6fc8a6a39a98f.jpg

그리고 거북선 지붕 판자 위에는 + 모양의 길이 났다고 되어있음.

img/25/03/30/195e6fcafb239a98f.jpg

설계 초기엔 + 모양 길을 내려고 시도했는데

img/25/03/30/195e6fcc96339a98f.jpg



정작 완성된 거북선은 + 모양 길이 사라져있음. 은근슬쩍 고증 생략.




수많은 자문위원들 불러놓고 정작 전직 해사 교수였던 정진술 박사 주장만 모아놓은 "학연 거북선"이라는 점이 아쉽다.




전문가들이 왜 해사를 안 좋아하셨는지 납득됐었음.


[신고하기]

댓글(10)

이전글 목록 다음글

12 3 4 5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