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서 해변이나 수영장에서는 남자들도 탱크탑이나 원피스 수영복을 입어야 했고,
하반신을 가리기 위해 별도의 치마를 덧입는 경우도 흔했다.
(2째 짤 왼쪽)
당시 남성의 유두 노출에 대한 인식이 어땠느냐 하면
1932년작 '타잔'을 본 여성 관객이 주인공 역을 맡은 조니 와이즈뮐러의 유두를 보고 그대로 졸도하는 사건이 일어났을 정도
실제로 공공장소에서 유두를 노출한 남성은 1달러(현재 가치로 약 5~10만원 상당)의 벌금을 내야 했으며, 심한 경우 경찰에 체포되기까지 했다
남자의 공공장소에서의 상의 탈의도 불법이었고(수영복 포함)
하지만 1934년 영화 '어느 날 밤에 생긴 일'에서
배우 클라크 게이블이 상반신 유두 노출을 감행한 것을 전후로 여론이 서서히 반전되기 시작했고,
결국 1936년에 공공장소에서 남성의 유두 노출이 법적으로 인정되기에 이르렀다
1934년 검열 반대 포스터 보면은
이 사진에는 당시 미국에서 검열하던것중 10가지가 들어가 있는데 해석하자면
1. 법집행관의 죽음
2. 허벅지 안쪽 노출
3. 망사 란제리
4. 죽은 사람
5. 약물
6. 음주
7. 쇄골 및 가슴 노출
8. 도박
9. 총을 겨누는것
10. 토미건
+ 코믹스 검열
1950년대 저명한 정신과 의사였던 프레드릭 워댐은 만화가 저속한 동성애자들을 양성한다면서
그 근거로 배트맨과 로빈의 관계를 남색의 미화로
원더우먼의 자주적인 여성의 이미지가 소녀들을 음탕한 레즈비언으로 만든다고 주장했음
더 큰 문제는 이런 주장에는 근거가 빈약했지만
당시 워댐의 명성이 엄청 높았기 때문에 아무도 문제를 반박하지 않았다는거임
때문에 만화는 순식간에 미국사회를 병들게하는 주적이 되었고 각 지역에서는 만화들을 모아서 불태우는 행사가 진행됨
우리나라 만화책 화형식 등 후진적인 검열은 유교가 아니라 YMCA 계열의 개신교 주도입니다.
같이보면 좋은 글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54029485
맨날 한국이 너무 고리타분하다고 슬슬 제사도 안 지내는 유교 탓하지만
사실 서양의 청교도같은 기독교가 더한다.
유교는 아무 잘못이 없다, 오히려 여성단치 ㅁㅁ단체가 지랄해서 이 꼴 난거지
지금 게임이 처맞는거랑 비슷하네.
정부는 게임을 패고.
게임사는 게이머를 패고.
근데 엄...
원더우먼은 그...
아니다
작가가 결박 페티시가 있던거?
그리고 여자 둘이랑 폴리아모리 ㅋㅋ
참고로 1934년 영화 '어느 날 밤에 생긴 일'은 파자마입는것도 일반화 시킨 영화임.ㅋ
+토끼=당근 이미지 만들었음
진짜임
제사 마저도 안지내는 집이 늘어가는데 맨날 유교탓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