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연합을 만들어주네
[4]
| 25/02/16 | 조회 0 |루리웹
[3]
루리웹-8827747176 | 25/02/16 | 조회 0 |루리웹
[21]
환인眞 | 25/02/16 | 조회 0 |루리웹
[12]
5324 | 25/02/16 | 조회 0 |루리웹
[8]
설빙빙수 만만세 | 25/02/16 | 조회 0 |루리웹
[3]
제주감귤라그 | 25/02/16 | 조회 0 |루리웹
[2]
루루밍 | 25/02/16 | 조회 0 |루리웹
[19]
아쿠시즈교 | 25/02/16 | 조회 0 |루리웹
[16]
TOAD:Commander | 25/02/16 | 조회 0 |루리웹
[33]
뱅드림 | 25/02/16 | 조회 0 |루리웹
[14]
메스가키 소악마 | 25/02/16 | 조회 0 |루리웹
[16]
아침식사간편한간식으로먹기좋 | 25/02/16 | 조회 989 |SLR클럽
[3]
aespaKarina | 25/02/16 | 조회 0 |루리웹
[3]
듐과제리 | 25/02/16 | 조회 0 |루리웹
[6]
앓는보이 | 25/02/16 | 조회 0 |루리웹
매운 음식=사천이냐?
사천 기후에서 김치를 왜 해먹어
국뽕날조질하려면 좀....
저거 영상봤는데 틱톡 대체 중국어플에서 저지랄하면서 서양인들 선동한단 내용이더만
그렇게 따지면 생선 날것으로 안먹어보고 야채절임 안먹어본 문명이 얼마나 된다고 다 중국꺼 ㅇㅈㄹ임?
솔직히 단오는 중국 입장에서도 억울한 면이 있을 수 있다 봄. 근데 김치에서 바로 ㅋㅋㅋ
중국에서 유명한 사람인가???
이런거에 하나하나 대응할 필요 없음..
1. 단오절은 한국의 단오와 중국의 단오는 물론 원조는 중국 단오지만, 한국의 단오은 중국의 단오와 날짜가 같아서 이름을 따왔을 뿐인 전혀 다른 것이다.
2. 김치와 파오차이는 완전히 다르다. 절임 채소는 독일의 자우어크라우트부터 일본의 다꾸앙즈케까지 존나게 많고 그 중 하나가 김치와 파오차이고 두 종류의 공통점도 찾기 어렵다.
3. 스시는 나레즈시에서 유래되었고 나레즈시의 원조가 동한 시기 양쯔강 유역의 생선절임이라는 설도 있다. 꽤 유력한 설이긴해서 주장하는건 자유지만 확실하다는듯 말하는건 좀 너무 갔다.
4. 생선회는 그 자체로 문화라 하기 어렵고 현재의 일본식 생선화로의 분화는 무로마치 막부 전후로 다룬다. 반면 중국의 회 문화는 늦어도 명대에 거의 절멸하다시피 했다. 따라서 역사적으로 위로 따지면 중국의 어딘가에 닿을지도 모르는데 그마저도 위에 더 뭐가 있을지도 모르고 (애초에 날생선은 호모 에렉투스도 먹었다) 문화적으로 따지면 한참 분화된 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