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총기제작
승정원 일기 인조 1년 4월 13일 (1623년)
적과 맞붙어 싸울 때에는 조총(鳥銃)이 더욱 절실히 필요한데
지난번에 병기도감(兵器都監)에서 만든 것은 물력(物力)만 다 허비했을 뿐 모두 쓰임에는 맞지 않습니다.
병기가 이와 같으니, 어떻게 제대로 된 군대가 될 수 있겠습니까.
들으니, 상왜(商倭)가 조총을 많이 싸가지고 와 교역하고자 한다고 합니다.
신은 청컨대, 각 관에서 매달 정해 놓고 만드는 군기를 4, 5년 동안만 정파(停罷)해서
매달 정해 놓고 군기를 마련하는 데에 들어가는 비용으로 왜의 조총을 사면 일이 매우 편리할 것입니다.
1623년 요약 : 저희 총 존나구린데 이거 만들 돈으로 걍 일본에서 사다 쓰죠
승정원일기 인조 17년 7월 19일 (1639년)
신익량이 비변사의 말로 아뢰기를
..(중략)..
신들의 생각에는 조총의 자루마다 장인의 성명과 제조 일월 및 근량(斤兩)의 무게와 척도(尺度)의 길이를 새겨
똑같이 도감의 규례와 조총의 규례대로 하고, 각 고을이 또 따로 성책을 하여 조총에 새겨진 글 및 감관과 색리의 성명을 모두 기록하고,
해당 수령이 서명하고 도장을 찍은 뒤에 병사(兵使)의 사심(査審)을 기다린다면
방납과 투환 등은 문서를 한번 찾아보기만 해도 자연히 드러나지 않겠습니까.
1639년 요약 : 아니 총 만드는데 뭔 규격도 없어 규격좀 만듭시다
규격이 있는데 만드는놈들이 똑바로 안지킨건가 하면 또 아닌게
현재까지 발굴된 사료에서 찾은거라곤 '조총 무게는 대략 5~6근 탄약은 대충 2전 5푼~3전 정도로 만들자' 뿐임
그래서 규격좀 기록해서 통일하자는 말이 나온것
비변사등록 숙종 1년 10월 12일(1675년)
이달 11 일 윤대(輪對) 입시 때에 행부호군 이집(李鏶)이 아뢰기를
"조총은 우리나라의 장기(長技)입니다.
이달 11 일 윤대(輪對) 입시 때에 행부호군 이집(李鏶)이 아뢰기를
"조총은 우리나라의 장기(長技)입니다.
각 읍의 월 과총(月課銃) 가운데 총구는 작으나 철환(鐵丸)이 큰 것이 있고 철환은 작으나 총구가 큰 것이 있습니다.
크고 작은 것이 서로 맞지 않아 정밀하게 발사할 수 없으므로 급한 일이 있을 경우 사용하기 어려우니..(하략)
1675년 요약 : 총좀 똑바로 만들어라!!
비변사등록 숙종 18년 10월 24일(1692년)
총융사 장희재(張希載)가 아뢰기를
"근래 각 군문에서 조총(鳥銃)을 만들 때에 공장(工匠)들이 물력을 적게 쓰고
총융사 장희재(張希載)가 아뢰기를
"근래 각 군문에서 조총(鳥銃)을 만들 때에 공장(工匠)들이 물력을 적게 쓰고
공역을 쉽게 마칠 것만을 생각하여 만든 조총이 너무 엷습니다.
그래서 시험발사 때에 부서지고 찢어지는 것이 많은데 막중한 군기를 이같이 허술하게 하니 매우 한심스런..(하략)
1692년 요약 : 총좀 똑바로 만들어라!!
승정원일기 영조 즉위년 11월 19일(1724년)
그런데 조총이라는 것은 겉만 그럴듯하고 실제로 사용하기에 편리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조총이라는 것은 겉만 그럴듯하고 실제로 사용하기에 편리하지 않습니다.
뚫어 놓은 총구멍이 좁아서 탄환이 쉽게 걸리고 막혀서 통하지 않으며,
철환(鐵丸)을 넣을 때마다 막혀서 밀어 넣기가 어렵습니다. 각 읍의 월과 조총(月課鳥銃)이 대부분 이와 같으니,
도감에 있는 조총도 어찌 이와 마찬가지의 상황이 아니라고 장담..(하략)
1724년 요약 : 총좀 똑바로 만들어라!!
승정원일기 영조 4년 8월 21일(1728년)
이삼이 아뢴 내용에
이번 변란(變亂) 후에 더욱 변통해야 할 일이 있습니다.
이삼이 아뢴 내용에
이번 변란(變亂) 후에 더욱 변통해야 할 일이 있습니다.
조총(鳥銃)을 쓰려면 반드시 철환(鐵丸)이 총구(銃口)에 맞아야지만 대적했을 때 쓸모없게 되는 폐단이 없어집니다.
그런데 지난번 출정 때에는 연환(鉛丸)이 총구 보다 커서 하나하나 깎아 내는 데 시일이 많이 걸렸다고 합니다.
이와 같은데 어찌 전쟁에 임하여서 낭패하게 되는..(하략)
1728년 요약 : 총좀 똑바로 만들어라!!
비변사등록 영조 36년 8월9일(1760년)
이번 8월 8일 친림시사(親臨試射)에 입시하였을 때에 훈련대장 구선행(具善行)이 아뢰기를,
이번 8월 8일 친림시사(親臨試射)에 입시하였을 때에 훈련대장 구선행(具善行)이 아뢰기를,
“근래에는 조총(鳥銃)을 두들겨 만드는 법이 옛날과 많이 달라서 이것만 해도 개연(慨然)한데
그중에서도 더욱 한심한 것은 총 구멍과 탄환의 제도가 대소가 서로 일치하지 않아 혹은 총구멍은 크고 탄환은 작은 것도 있고,
혹은 탄환은 크고 총구멍은 작은 것도 있으니 이 어찌 위급할 때를 당하여 윤방(輪放)의 소용이..(하략)
1760년 요약 : 총좀 똑바로 만들어라!!
...
...
...
...
조총이 도입된지가 언젠데 18세기에 이르기까지 수백년간 총과 탄의 규격조차 맞추지 못하고 있었음
이 이후에는 아예 조총 관리도 못해서 녹슬었다느니 구멍이 막혀서 탄이 안들어간다느니 하는 기막힌 이야기가 나오다가
19세기에 이르면 본격적인 소총의 시대가 열려 조총 자체가 퇴물이 되어버리고 맘
그럼 조총이란게 옛날 물건이라 어쩔수 없이 원래 이랬는가?
물론 조총 자체에 한계가 크긴 하지만 조선은 그중에서도 심각했음
오죽하면
비변사등록 효종 8년 3월 14일 (1657년)
"조총의 일에 관한 회자(回咨)에 '지금 보낼 본국 조총은 본래 거칠고 나쁘며,
일본에서 만들어 온 조총이 가장 좋습니다. 대통관도 어찌 이런 조총을 얻을 수 있겠습니까?
일본 사람들의 금지가 점차 엄밀해진 때문에 이제 교환해 구입해서도 이에 응하기 어렵습니다."
청 : 니네 총 진짜 좃구린데 그거 말고 일본총 사다 납품하셈
조선 : 나도 알아 근데 걔네가 안판다는데 어캄ㅡㅡ
하는 기록도 나옴 ㅋㅋㅋㅋㅋ
조선은 국가 차원에서 민간 제작자에게 독점권을 주고 전적으로 생산을 맡기는 형태였는데
조총의 총신 타조와 총강 가공은 의외로 고정밀 기술보다도 막대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작업이었음
관이 생산시스템을 독점하고 할당량을 줘서 생산하다보니
1692년 기록처럼 빠르고 쉽게 할당량만 채우려고 하려고 하다가 그만...
게다가 조총 생산을 관리하는 감조관(監造官)은 평생 과거시험 공부하다가 소과만 통과한 채 일하는 말단 공무원이었음
그리고 이들이 정말 관리를 잘했는지 이게 똑바로 돌아가는 체계였는지는
위 기록들을 통해 잘 알수있음
반면 기록에서 자꾸 비교용으로 끌려오는 일본은 무사 또는 철포 장인 출신의 실무직을 두어
총기 품질 관리에 종사하게 했고 총기 제조 역시 독점이 아니었음
각 번마다 개별적으로 생산처에 의뢰해 총기를 구매했는데
판매자와 구매자가 여럿이 있다 보니 맘에 안들게 만들면 다른데서 사면 그만이고
잘 만들어 팔면 다른 고객(번)까지 확보할수 있을 가능성이 있어
총 팔아 돈벌어먹고 살려면 경쟁력을 확보할수밖에 없었음
또한 국가 전체가 다같이 통일 규격을 사용하지 않았다뿐 각 번은 각자 규격이 있었고
이를 매우 중시해서 규격을 군사기밀로 삼았음
유럽은 일본과 유사한 형태지만 각 번 대신 각 지휘관이 총을 구매하는 차이가 있었는데
18세기 초에 이르면 군 전체가 동일한 규격의 총기를 사용하고
각 부품이 지정된 공장에서 생산되며 최종적으로 품질 검수 후 조립되는
현대적인 규격 생산 방식을 도입하기 시작하였음
근데 저런 총 들고 남들이 감탄할정도로 진짜 존나게 잘쏘고 다님
뭣
요약)
1. 수백년간 총 개못만듬
2. 근데 이걸 들고 실전에서 빠요엔하고다님
3. 좃고수
댓글(2)
민영화의 장점..?
가내수공업아니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