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유머 원문링크 https://m.todayhumor.co.kr/view.php?table=bestofbest&no=293153
안녕하세요?
제목 그대로 저희집은 30년 넘게 산란계 양계장을 하고 있습니다..
얼마전에 글 올린게 베오베로 갈줄은 몰랐는데,, 정말 계란이 핫이슈는 핫이슈구나라는걸 느꼈습니다.
이번에는 중간 상인들의 횡포에 대해서 몇가지 써보고자 또 글을 올립니다.
저희집은 다행히도, 아직까지도 AI를 잘 막아내고 있다고 합니다. 저는 서울에서 직장생활을 하고 있어서 하루하루
멀리서 걱정만 하고 있지요.
얼마전 전북 김제에서 AI가 터진 여파로 사료차 동선 등 역학조사 차원에서 저희집도 오늘까지 계란이동 금지 조치가 내려졌습니다.
현재 농장에는 약 1만여판이 쌓여있고, 내일 새벽에 상인들이 와서 싣고 간다고 합니다..
얘기를 들어보니 현재 마트에서 30구 1판이 1만원 안팎으로 팔리는것 같습니다..
저희집에서 도매가로 중간상인에게 넘기는 가격은 약 6~7천원 사이입니다.
그런데 대체! 무슨 이유로 약 3~4천원의 마진이 더 붙어서 마트에서 팔리는건지 도저히 이해가 안됩니다.
인건비, 기름값, 유지보수비, 이윤 등등을 뺀다고 하더라도... 중간상인 거쳐 최종 유통매장으로의 2~3단계가 거쳐진다고 한들...
왜 도매가의 50%수준의 마진이 붙는 구조가 되는건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아마 장사하시는분들은 아시겠지만 시세가 오르락 내리락 해야지 상인들이 돈을 번다고 합니다.
시세가 오를때는 사재기 해놨다가 비싼값에 팔고, 시세가 내릴때는 농가에 세일을 종용하거나 후려쳐서 더 낮은 단가에 구매를 하지요.
물론 장사를 하는 방법론의 하나일수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매번 농가는 유통상인이 해달라는 대로 해줄수 밖에 없는 구조라는 점 말씀드립니다..
이러한 사실에 대해서 정부에서는 뾰족한 대책도 없고, 별로 개선해야겠다는 의지도 없으며... 유통라인의 횡포와 그 절대적인 권력은 1차 생산자인
농가 혼자의 힘으로 넘기에는 너무나도 높은 장벽이라는걸 나이를 먹다보니 자연스레 알게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번 기회에 언론이든,,, 시민단체든 계란뿐만 아니라 비정상적인 수준으로 왜곡되어져있는 1차 생산물(농축수산물...)의
잘못된 유통구조에 대해서 실태를 폭로하고 이에 대한 정부의 조치를 촉구하는 행동이 있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다시한번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나 오유에 계신 중간 상인분들 중 합리적인 마진을 취하면서 열심히 장사하시는 분들도 계실텐데... 모두를 싸잡아서 비판하는것은 아닙니다.
적정하고 합리적인 마진으로 유통업에 종사하시는분들도 힘내시기 바랍니다.
이런 말을 들으면 들을수록 이런 지인 있으면 직거래 하고 싶어지는것 있죠.. 힘내세요..
MOVE_HUMORBEST/1357644
부가세 10 % 운영비 10% 순익의 40% 소득세 내려면 적어도 25~ 30% 를 영업마진을 붙여야 운영됩니다. 6000× 1.3 = 7800원이네요. 두단계만 거치면 7800× 1.3 = 9400원 왜 이해가 안가죠?? 합리적 마진이라는 게 몇 퍼를 붙이는게 합리적인가요? 솔직히 직거래만이 답입니다.
만판. 6000이명 6000만원. 그리고 사료값에 전기세 하면 얼마나 남을라나 만판이면 사람쓸테니 인건비도 들테고.
계란은 일단 부가세 없어요 면세로 아는데 마트서 사면 면세라고 찍히던데
근데 쓰고보니 부가세가 핵심요인은 아니내요
1 네 계란이 부가세가 안붙는 다 하더라도 실제로 운영비+ 영업마진 까지 하면 작아도 30%는 붙여야 운영이 가능합니다. 밑지고 장사하는게 말이 되나요. 유통단계를 줄여야는데 줄인다고 값이 하락할까요? 원가가 하락해 봐야 중간 유통자만 더 남겨먹는게 현실인거죠
이제 7천원입니다! 저도 직거래 찬성합니다! 악덕 기업이나 장사치들은 돈 못 벌게 해야죠??? 저역시 계란 좋아하는데 몇 달간은 못 먹어도 버틸 수 있으면 버티겠는데 초기에 제대로 막지 못해서 살아 있는 애먼 동물에게까지 산채로 생매장 당할 생각하니.....ㅠㅜ 꼭 끝날 때까지 아무 피해 없으시길....교활한 황교활 도대체 뭐하는 것인지.....
멍멍하는냥이님. 어째서 부가세10% 운영비10% 순익의40%소득세를 낸다고 쳤을때 25~30% 영업마진을 붙이는게 어째서 합리적이라는거죠. 타 산업과 단순비교해서 생각하는건 어패가 있는것 같아요.. 그리고 1차 생산자들은 면세사업자입니다..부가세를 왜 오롯이 1차 생산자와 소비자가 부담해야 하나요.. 덧붙여 정직하게 세금계산서 발행해서 세금 다내고 장사하는 중간상인이 몇이나 있을것 같으신가요... 냥이님 말씀대로라면 중간상인들은 아무런 문제가 없어요. 유통을 2~3단계 거친다고 한들 그렇게 뻥튀기 되어야 하나요? 그리고 타 종목도 그렇지만 계란은 규모의 경제가 절대적으로 적용되는 종목이에요... 1.5톤 트럭으로 장사하러 다니시는분들도 한달 열심히 장사하시면 억단위정도까지 왔다갔다합니다. 그정도 규모에서 냥이님처럼 25~30% 마진율 붙이면 한달에 벌어들이는 수입이 얼마가 될런지 계산기 두드려보면 대충 답이 나오죠.. 하물며 큰 규모 50만수, 100만수 이렇게 거래하는 분들은 오죽할까요? 한달이면 수십억이 왔다갔다합니다. 이런 측면에서 좀 생각을 해주십사하는거에요.. ㅎㅎㅎ 물론 중간 상인들도 고충이 있겠지만 한달에 수천만원 수억원의 순이익을 거둘만큼의 노동을 하는지에 대한 판단은 각자 하시는걸로 ^_^하시지요.. 그리고 직거래가 답이지만,, 현실적으로 제약사항이 너무 많습니다. 소비자들의 무관심과 농가의 역량 부족 등등... 쉽지않네요. 괜히 푸념하고 갑니다..
작성자님은 왜 중간 유통업자가 세를 안낸다고 생각하시는 지 모르겠습니다. 개인사업자로 수십억 수백억 하시는 분이 있다는데 그게 추적이 안된다는게 이해가 안가네요. 수십억 수백억을 버는데 세금을 안낸다?? 그게 말이 되나요?? 1차 생산자가 제대로 신고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제대로 신고하는 사람 1인이라도 있다면 다 추적가능한 시스템인데 소비자들이 트럭에서 사는거 처럼 말씀 하시는데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마트에서 삽니다. 영수증 꼬박꼬박 주는 마트요. 요샌 동네마트도 영수증 안받는다고 해도 줘요. 그런 마트의 운영비=인건비 가게세 전기세 수도세 등등을 합하면 어마어마 합니다. 30프로의 마진 이라고 해도 얼마 안되는게 실정이라는 얘깁니다. 영업은 꽁으로 하나요? 계란이 늘 잘 팔리면 상관없겠지만 안팔리면 반품도 받아야하고 재고로 쌓아두다가 썩혀서 버리기도 하겠죠. 지금 나가는 단가가 6천원 선이라면 저같은 소비자의 입장에선 이해가 안가는건 늘 항상 원가는 비슷하게 들어갔을텐데 왜 그게 가격이 올라갈까요?? 닭은 이미 많이 죽었고 사료는 남을 것이며 그럼 사료값은 내려갈거고 오히려 원가 측면에선 낮아져야하지 않나요?? 반면에 중간 유통업자는 기존에 3000원에 팔던 (마트에서 4000~5000원 사이였으니 1.3 했을때 원가 3000) 계란을 무려 산지에서 두배인 6000원에 사야는데 배로 운영비가 들텐데요. 이건 입장차이일뿐이라는 겁니다. 직거래를 한다치고 현실적으로 6천원에 산지에서 산다해도 거기까지 가는 기름값 또는 택배비 (택배가 가능한지는 모르겠네요) 만해도 만원은 그냥 넘겠네요;;;
MOVE_BESTOFBEST/293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