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게 실시간 커뮤니티 인기글
(1937931)  썸네일on   다크모드 on
개호구한.. | 22/12/17 21:59 | 추천 28

일본 식품 첨가물 근황 ㄷㄷㄷ.JPG +22

원문링크 https://www.ilbe.com/11455454469








첨가물 위엄












일본인이 말하는 일본음식은 건강하지 않아 



끔찍한 사실 - 일본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식품 첨가물을 승인한 나라이다



대부분의 국가에는 허용되는 식품 첨가물이 수십개에 불과하지만, 일본은 1500개보다 많습니다.



모두 유해한 것은 아니지만, 많은 국가에서 금지되어있는
예를 들어 젤리 및 청량 음료에 포함하는 색상 에이전트 레드2라고 부르는  기타 등등등 첨가물 (길어서 생략) 
이것은 암과 두드러기기 위험성 증가, 빵과 스낵에 포함된 트랜스지방산 증가 심근경색, 뇌졸중, 치매의 위험
 






식품 첨가물은 모두 정부의 공식 승인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일본의 많은 과학자들은 다음 사항에 의문을 제기합니다.



불행히도, 당신은 일본의 다채롭고 맛있어 보이는 음식으로 건강한 삶이 바꿀 수 있습니다.

1. 동물만을 대상으로 한 실험
2. 그들은 각 식품 첨가물을 한 번에 하나씩만 테스트했습니다.
3. 이러한 식품 첨가물 중 상당수는 암 유발 / 뇌 손상을 일으키는것으로 확인되었다/ (WHO)





네 다음 첨가물 범벅



















 일본제과업계 1위 근황












일부 일본인들 캠페인시작


 


daumcapture_11분48초.jpg
 

daumcapture_3분8초.jpgdaumcapture_3분28초.jpg




daumcapture_5분58초.jpg
daumcapture_6분28초.jpg






 
daumcapture_6분49초.jpgdaumcapture_6분52초.jpg
 


 
바삭바삭 만들기 위해 첨가물
 
daumcapture_8분38초.jpg
 
daumcapture_5분16초.jpg

 
daumcapture_14분3초.jpg
 

일본 편의점 도시락은 단가를 맞춰야 하고, 다양한 재료를 먹음직스럽게, 그리고 맛있게 느끼게 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식품첨가물을 다량 투입, 그래서 결론은 일년에 24만명 정도 미각관련 환자가 일본에서 발생한다고 하는데...

일본 편의점 음식 유통기한 긴 이유도 여기에 있음

한국은 어떨지 검색 좀 해봤다.. 이정도 검색이 되는구나.

CU는 간편식품 제조공장 6곳 모두 해썹(HACCP,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인증을 받았다. 모든 도시락, 삼각김밥에 도정한 지 1∼3일 이내 입고되는 햅쌀만 사용하고 취반과정에서 식품 첨가물이나 조미료를 넣지 않는다. '밥소믈리에'(쌀과 밥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전문가)를 채용해 밥맛 등 간편식 전반에 걸친 품질도 관리한다.

씨유(CU)는 도시락 제조 시 도정 후 1~3일 이내의 햅쌀만 사용하고, 식품 첨가물이나 조미료는 넣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또 요일마다 반찬 구성을 달리하는 ‘요일 도시락’을 2년 전부터 판매하고 있는데, 전체 도시락 매출 1위(20%)를 차지하는 등 인기를 끌자 올 5월 후속 제품 2종을 새롭게 선보이기도 했다.

GS25는 지난해 편의점 업계 최초로 식품연구소를 설립, 호텔 조리장 출신 식품연구소 연구원들이 가장 맛있는 레시피를 개발해 실험을 거듭한 뒤 상품을 출시한다. 세븐일레븐은 40억원을 투자해 경기 용인시 푸드공장에 밥짓는 기계인 전자동 취반기 시설을 확대 설치했다. 도시락, 삼각김밥 등에는 수확한 지 1년 이내 국내산 햅쌀만 사용한다.

첨가물 적은거 먹어라 이기야.


 
[신고하기]

댓글(0)

이전글 목록 다음글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