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배드림 원문링크 https://m.bobaedream.co.kr/board/bbs_view/best/136240
처음글 링크
(
http://www.bobaedream.co.kr/view?code=accident&No=469880)
양발운전 ?
양발운전이라고 말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저는 정말 생소한 단어이고 주변에서 그렇게 운전한다는걸 들어보지도 못했고
그런사람이 있다면 정말 뜯어 말렸을 겁니다.
언제부터 양발운전을 한다라는게 쉽게 생각할 수 있게 된건지 궁금하네요.
천만원빵 글 때문에 이렇게 된걸가요 ?
먼저 정말 양발운전이 아닙니다. 모든 진심을 담아서 말씀드립니다.
그렇게 가볍게 말씀하시는게 화가 나지만 차분히 생각해 보았습니다.
20년 넘게 한발로 운전하셨고 저도 아버지에게 운전을 배웠습니다.
그런데 정말 만약에 양발 운전을 하셨다고 가정을 해봅니다.
그럼 아끼는 자신의 차량이 벽 1미터앞에 있는 데 브레이크를 밟고 정차 상태에서
엑셀을 바닥에 스키드 마크가 날정도로 밟았다는 건가요 ?
자그럼 양발 운전자 분들께 여쭤보겠습니다. 양발운전을 해오신 분들이 엑셀과 브레이크를 햇갈려서 벽으로 돌진 하시나요?
영화처럼 바퀴에서 연기날 정도의 상황을 연출 하기위해서 그랬을가요 ?
양발운전이라는 단어로 급발진에 대한 좋은 핑계될 수 있는 키워드가 생겨서 제조사는 참 좋아할것 같습니다.
정말 만약에 양발운전을 하셔서 실수로 엑셀을 밟으셨다면 범퍼만 파손된 상황이고 자차처리 하고 다시 타고 다니면 되는데.
사고 직후에 전화를 하셔서 너무 놀라신 목소리로 차량이 이상하다고 말씀하셨고 지금까지 그 차량은 공포감에 저희 가족 모두 시동 안걸고 있습니다.
자신의 실수로 차량이 파손된 경우에(수리청구비용 200만원, 자차처리시 자기부담금 45만원) 보험처리 하고 그냥 타고 다니면 되는데 해결도 안되고 있는
급발진을 언급하여 일을 크게 만들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희 아버지 50대 중반이십니다.
["노인"을 규정하는 기준 나이는 만 65세로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짠 1964년에 도입해 2017년 현재 52년째 유지되고 있다. ] - 한경경제용어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2295&cid=42107&categoryId=42107)
여러분께 이게 급발진인지 아닌지 판단해달라고 올린 글이 아닙니다.
판단은 제조사나 국가기관이나 전문가 등이 판단 할 문제라고 생각되고
이 기록이 급발진을 겪으신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하고 조언을 구하기 위함입니다.
이정도는 급발진이 아니라고 하시는 분들도 계시는데 그럼 급발진의 정확한 정의나 어느 속도까지 올라가야하며 몇알피엠까지 올라가야하는지 기준이
있으시면 뒷받침 해주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지금까지 해결안된 급발진 사례들이 인정되는 좋은 자료가 될 것 같습니다. 저는 차량오류로 인한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동력이 전달되 차량 이동하는 것을 급발진으로 보고
이 사고를 급발진 혹은 ECU 전자기기의 순간적인 오류인한 출력 급상승 이라고 확신하고 해결방법을 찾는 중입니다.
참고로 차량은 올 순정상태 입니다.
지금까지 약 한달간 혼자 진행해 온 사항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2017년 9월 3일 사고 직후 bmw 긴급 서비스 를 불러서 스캔하시고 일단 BMW서비스센터 입고.
2017년 9월 4일 bmw서비스 센터 입고. 블랙박스 영상과 스키드 마크 사진 다 전송하였음.
- 사고 담당에서 급발진 담당으로 담당자가 바뀐다고하였음.
2017년 9월 5일
- 정비 마스터가 차량 검사시 차에서 아무 이상이 발견되지않았다고 함.
브레이크와 엑셀을 같이 밟았을거로 추정된다고 함.....
2017년 9월 11일
- 광주 코오X 서비스센터 상담결과
차에는 아무이상이 없다는 말만 함.
EDR 공개 요구 하자 EDR 설치되어있지 않다고함. 2015년도 이후 부터 개발된 차량만 설치되어있다고 함. F 바디는 없고, G 바디만 설치되있으므로
F30은 설치가 되어있지않다고 함.
범퍼 자차 수리하고 . 무서워서 직접 운전하여 출고 할 수 없어서. 픽업 딜리버리 요청.
지하주차장에 보관중입니다.
2017년 9월13일 AM11:00
-구매처인 서초 한X모터스 방문
담당자 미팅 요청. 미리약속을 잡고 다음에 오시는게 어떻냐는 권유에. 오늘 꼭 이야기를 하고 싶다고 하고 한시간 정도 기다린후 한X모터스 CR 팀 상담.
상담중에 CR팀 매니저도 영상을 보니 차에 이상이 있는거 같다며 최대한 잘 해결될수있게 노력해준다고 다음날 연락준다고 함.
2017 9월14일 AM 10:30
-담당자 전화옴 . 오전 10시반 경.
광주 코오X 서비스센터에서 수리를 했기때문에 . 점검 결과를 인정할수 없다고 의사를 밝히고 , 정밀 조사를 요청 하는게 좋을것같다고 함.
서비스센터 내부에서만 점검했기때문에 .. 그리고 일반케이스가 아니고 특수한 케이스 이기 때문에 본사 측면에서 정밀 조사가 필요하다고 전달 하고
다시 점검하는게 좋을것 같다고 함.
AM 11:00
광주 코오X 서비스센터 (통화함)
나는 점검 결과를 인정할수없고, 정밀조사 요청해달라고 요구함.
서비스센터 측 대답은 이미 점검 완료한 결과고, 더이상 할수 있는건 없다고 함.
경찰서에 신고 하던지 . 국과수에 의뢰하라고함.
AM 11:10 CR팀 매니저에게 전화함.
서비스센터에서 저렇게 대응한다고 말하니 . 좀 더 확인하고 연락준다고함.
매니저에게 전화 옴.
더이상 비엠쪽에서 해줄수 있는게 없다며 . 타 기관에서 진행을 하셔야될거같다고 함.
어떤 보상을 원하는지 말해달라고 해서 “많은걸 바라는건 아니다. 지금 아버지가 차량 운행을 할 수 있게 해달라.
차를 교체해 주던지. 중고로 넘겼을때 감가를 보상해달라.” 고 이야기함.
회의 후 9월18일에 전화준다고함.
2017년 9월18일 PM 6:00 경 전화옴.
조금 더 회의가 필요할 것 같다며 9/20에 연락 준다고 함.
2017년 9월20일
PM 5:48 전화 옴.
BMW 측에선 아무것도 해줄 수 없다고 통보 받음.
2017년 9월21일
한국소비자원 . 피해구제 신청서 작성(온라인)
2017년 9월22일
한국소비자원 전화옴. 급발진 건은 자료가 있어야 진행해줄수있다. 리콜센터에 먼저 신고해서 자료를 확보하는게 먼저다. 자료확보후 연락하면 도와주겠다.
자동차리콜센터 전화 신고 완료. 이메일로 블렉박스 및 사진자료 첨부.
2017년 9월25일
자동차리콜센터 통화.
리콜을 위한 자료 수집을 하고 있고, 따로 이차량 조사를 할지 어떨지는 연구원들이 보고 자료를 판단한다고함. 확실히 조사가 이루어질지 알수 없다고 함.
국토교통부 자동차 정책과. 자동차 결함 담당 .통화
EDR 검사를 할 수 있게 조치를 취해주겠다.
2017년 9월26일
자동차리콜센터 통화.
블랙박스상에 브레이크 보조등이 들어온게 확실히 이상이있다고 보여서. bmw에 해당차량 자료를 요청중이다. 라고 연락온 상태.
2017년 10월6일
사건과 일지를 번역 후 독일본사에 이메일 보냄. 답변 기다리는중.
---------------------------------------------------------------------------------
현재까지 진행상황입니다.
리콜센터의 답변과 본사에 보낸 이메일 답변에 희망을 걸고 있는 상태입니다.
그리고 정말 독일 본사 앞에가서 피켓시위라도 해야 마음이 좀 괜찮아질 것 같습니다.

혹시 도움을 주실 분들은 연락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응원과 조언 부탁드립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냥 알아서하세요. 여기서 뭘 얻으시려는건가요?
1. 우선 F 바디에 EDR은 있습니다. 다만 2015년도 12월 19일 이후에 출시한 신차만 의무공개 일뿐 이전에 출시한 차들은 장착되었더라도 공개가 의무는 아닙니다. 사설업체에서 CDR 장비만 있다면 데이터 추출하는건 별일아닙니다. 하지만 EDR이 에어백모듈과 연동이 되어있어 회사에 따라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았다면 데이터가 저장이 안되었을수도 있습니다. 이건 제조사에 물어봐서 확인해봐야 할것입니다.
2. 브레이크등이 만연지사는 아닙니다. 후륜구동의 경우 번아웃 한다고 하죠. 할때 브레이크를 살짝 밟은상태로 엑셀을 밟아 뒷바퀴만 가속시키는데 브레이크 컨트롤이 미흡한 경우 차가 앞으로 팅겨져 나가기도 합니다. 양발운전을 의심하는분들이 이것때문에 의심하는듯 합니다.
3. 엔진이 급전개되는 타이밍이 어느 사건을 보더라 제동이나 가속이 바뀔때 발생합니다. 기어 변속 미스를 함에 따라 운전자가 당황하여 급발진하는 경우가 기존 대부분 급발진 사건 케이스였습니다.
4. 보통 악셀 포지션 센서는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센서가 2개 달려있습니다. EDR을 확보하신다면 정말 악셀을 밟았는지 안밟았는지 알수 있을겁니다.
그럼 좋은결과 있길 바랍니다
여기서 중요한건 아버지의 급발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