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독재자에 의해 통채로 로스트웨이브가 되어버린 음악
참고로 몇 개 내용을 첨언하자면,
- 2000년대 초, Cambodian Rocks에 수록된 트랙들의 제목과 가수들이 네티즌 및 살아남은 당시 가수들, 원곡자의 친지, 가족들에 의해 모두 밝혀졌지만, 패러럴레코드와 폴 휠러는 Cambodian Rocks의 재판본에서도 해당 트랙들의 가수 및 제목 표기를 하지 않았음.
이유는 당시 캄보디아에서 등록조차 되어있지 않았던 가수들의 유족 및 저작권자들에게 한 푼도 주지 않기 위해서였음. 이러한 패러럴 레코드의 행위는 큰 비판을 받았음.
이게 계기가 된건 아니었다만, 이후 2004년 1월부터 캄보디아에서도 저작권법이 시행되면서 Cambodian Rocks에서 상당부분 지분을 차지한 신 시사뭇의 노래 50여곡이 등록됨.
- 위의 가수들은 실종을 빙자, 처형당했다고 추정되지만, 당시의 락 가수들 중 살아남은 사람도 있었음.
펜 란의 여동생 Pen Rom(맞나?)은 욜 아울라롱의 세션, 백업 보컬 멤버이기도 했는데, 자신을 바나나 장수라고 속여서 살아남았으며, 드라카르(Drakkar)의 경우 멤버 4명 중 3명이 각각 정부 음악을 위해서, 그리고 유학 등을 이유로 살아남았음.(이후 드라카르는 2000년대 중반~2010년대에 간헐적으로 살아남은 멤버들이 재결성, 공연을 진행하기도 했음. 다만, 멤버 중 한 명이 정부의 유력 정치인이라 고정적인 활동을 하지 못하는 중임)
- 본문의 다큐멘터리 Don't think I've Forgotten은 신 시사뭇의 대표곡 제목에서 따왔고, 제천 국제 음악영화제에서도 상영된 바 있음.
필자(나)의 평으로는, 정치적으로 평이 심히 엇갈리는 노로돔 시아누크에 대해 어쩔 수 없는 온정적인 시각을 제외하면(왜냐하면 이 사람의 의도적인 정책으로 캄보디아의 문화사업이 발전했으니까. 그리고 이 사람이 몇 안 되는 당대 음악가들을 담은 필름들을 제공했으니까), 괜찮게 잘 만들어진 다큐멘터리. 태동기부터 시작해서 변화, 발전하는 양상을 당시의 청자들, 살아남은 가수, 친지들을 통해서 읊어나가다가 내전과 킬링필드로 모든게 사라졌다는 부분에서 울컥함이 몰려옴.
- 본문의 로스 세레이 소테아와 신 시사뭇은 캄보디아에서 아직까지도 국민가수로 남아있음. 이 둘은 크메르 내전 당시 론 놀의 캄보디아 공화국의 지지자였으며, 로스 세레이 소테아의 경우 선전을 위해 당시 캄보디아 공화국군에 입대해서 낙하산을 타고 내려가는 영상까지 남아있음.
나쁜 붉은 크메르 놈들…….
론 놀의 크메르 공화국이 선녀로 보이게 만드는 정권이라면 뭔가 큰 문제가 있다는 거임
한 세대의 문화가 통째로 절단났네
사실상 한 세대의 그리고 미래의 희망과 경쟁력을 자신의 욕망으로 조져놓는게 독재자란 놈들이지.
한 세대 자체가 절단이 나서, 캄보디아는 사회 지도층이 3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임
폴 포트 이 학살자
저거 관련된 다큐멘터리보면 진짜 끔찍하더라
나치와는 다른 의미로 인류 역사에 남을 미친 학살자. 저런 미친 정권이 현실에 존재했다는거 자체가 충격과 공포임..
항상 저렇더라
지상에 유토피아를 구현하겠다는 인간치고
저런 결말이 안된 걸 본적이 없음
세상에.....
ㅈ같은 빨갱이 씹새들
폴 포트는 진짜 최악의 정권중 하나다..이 노래가 소실된게 너무 안타깝다..
문화가 파괴 되는건 단순 학살보다도 여파가 더 오래가는거 같더라..
복구가 불가능 한 느낌임
캄보디아
폴 포트의 캄보디아는 돼지새끼3부자의 공산왕국이 천국으로 보이게 하는 놀라운 국가임